기자는 기사 작성에 앞서 사건이나 이슈의 모든 측면을 조사해야 한다. 정치 기사의 경우 각 당파의 입장, 고소 사건의 경우 고소인과 피고소인의 입장을 들어본다. 그러나 제보, 가십, 개인적 경험 등의 정보는 어떻게 검증할 것인가?
인터넷 검색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반드시 두 가지를 확인해야 한다. 먼저, 누가 작성한 정보(글)인가, 해당 정보를 작성할 만한 전문성을 갖춘 사람인가, 작성 의도는 무언인가를 따져보아야 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등 온라인 상에는 진짜 전문가에서부터 기업이나 정치적 목적으로 고용된 로비스트, 일반인에 이르기까지 누구나 글을 쓸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정보의 신뢰성을 평가해야 한다.
다음으로 정보 작성자에 대해 알 수 있는 공개된 정보가 있는지도 확인해야 한다. 작성자의 배경, 학력, 직책(사외 이사 등) 등을 파악하고 페이스북, 트위터 계정도 확인해야 한다. 정보 출처가 개인이 아니라 신생 기업이라면 주요 관계자, 그 동료나 경쟁자, 관련 정부 관계자와의 관계도 꼼꼼히 조사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새로 임명된 농림부 장관이 양곡거래업체의 이사로 등재되어 있다면 그 합법성을 확인해야 한다.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 하더라도 이해 상충의 여지는 반드시 존재한다. 이러한 연관성을 발견함으로써 좋은 기사 소재로 활용할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석유, 토지, 장학금 같은 유한자원의 배분 과정에서는 비리가 발생 가능성이 높다. 관련 보고서 분석 시, 누가 물자를 관리하며 어떻게 배분되는지를 파악하여 자원의 희소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잠재적 비리를 밝혀내야 한다. 관련 웹사이트 등을 꼼꼼히 살피다 보면 이들이 어떤 정보를 공개하고 또 어떤 정보를 숨기고 있는지 알 수 있다.
고위직 공무원이나 정치인은 손 쉽게 거짓 주장이나 부분적으로 날조된 혐의를 뒷받침하는 듯한 문서 ‘증거’에 접근하거나 조작할 수 있다. 공문서 양식과 컴퓨터, 복사기만 있으면 누구나 문서 조작이 가능하다. 설령 문서가 진짜라 하더라도 고의적으로 중요한 문서를 누락하거나 선별하여 진실을 왜곡, 은폐할 수도 있다.
문서가 아주 복잡하고 기술적인 내용이어서 비전문가인 기자가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이 경우 회계사, 변호사, 의사 등 이해관계가 없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기도 한다. 반면 쉬워 보이는 자료라도 잘못 이해할 여지도 있다. 혐의가 사실로 밝혀졌으나 상대적으로 심각하지 않은 비행이나 비리일 수도 있다. 또한 비리에 관한 소문은 삽시간에 퍼지기 때문에 라이벌을 공격하거나 장애물을 제거하여 자신의 숨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취재원을 심는 경우도 있으므로 매우 신중하게 취재해야 한다.
기자들은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과 일상적으로 만나 대화를 나눈다. 좋은 관계를 이어가며 정해진 주제 없이 수시로 대화를 나누다 보면 다른 기자들 보다 앞서 정보를 얻어 보도할 수 있다. 필요할 때만 연락을 취하면, 취재원이 이용당한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 소위 말하는 인맥관리가 필요하다. 그렇다고 대화 중에 자동으로 기사거리가 튀어나오는 것도 아니다. 좋은 기사거리를 찾기 위해서는 항상 창의적이고 탐구적인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
인시드 (INSEAD) 의 탐사보도 기자인 마크 헌터 (Mark Hunter) 교수와 동료 루크 젠거스 (Luuk Sengers) 는 이런 조언을 했다.
“보도를 위해 정보를 모으는 것이지, 정보를 모으기 위해 기사를 쓰는 것이 아니다. 감정에 호소하라. 독자가 화를 내고, 울기도 하고 변화를 강렬히 원하게 만들어야 한다. 그게 아니라면 우리가 이렇게 많은 시간을 투자해서 정보를 모으고 생명의 위험을 무릅쓰고 인간관계까지 희생할 이유가 뭐가 있겠는가? 독자가 원하는 것은 밋밋한 인용구가 아닌 살아 숨쉬는 인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