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은 탐사보도 계획에서 신중하게 예상하고 계획해야 하는 부분이다. 자금과 기타 재원이 어느 정도 소요될지 예상해야 한다. 예산 집행시 출장비, 숙박비, 식비(필요할 경우 취재원 접대비), 전문가 자문료, 번역료, 전사료, 자료 및 기록 조사 비용, 공증료, 통신료(전화, 인터넷), 촬영료 등을 고려해야 한다. 팀을 구성해서 진행하는 경우에는 팀장(프로젝트 매니저 등), 워크샵 및 현지조사 비용도 고려해야 한다.
개도국의 언론사는 예산이 제한되어 있다. 미국의 경우 메이저급 신문사에서 탐사보도에 지원하는 비용은 개도국 언론사의 1년 전체 예산과 맞먹는다. 이런 환경에서는 지원을 받을 다른 방법을 강구할 수도 있다. 국제 원조 기구에서도 지원을 하고 있으므로 탐사보도 주제가 관련이 있을 경우 국제 기구의 지원을 받는 것도 한 방법이다. 그러나 원조 기구에서 영향력을 행사할 수도 있고 추구하는 방향이 다를 경우 지원을 받지 못 할 수도 있으므로 여기에 시간을 허비하지 않도록 한다. 또 다른 방법은 크라우드펀딩이다. 탐사보도 분야에도 일반 보도 프로젝트나 출판 등을 지원하는 기금 활동이 관심을 끌고 있으나 쉽지 만은 않다.
활용 가능한 지원제도와 크라우드펀딩 정보 및 성공사례 사이트:
- Global Investigative Journalism Network (GIJN) – Grants and Fellowships
- GIJN – Crowdfunding
- Fund for Investigative Journalism (FIJ)
취재원에게 대가를 지불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 대부분 기자들은 회의적이다. 취재원이 보상을 바라보고 거짓말을 하거나 정보를 과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나중에 취재원이 기자가 돈을 준다고 해서 정보를 제공한 것이라 주장하며 했던 말을 취소하거나 증거의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기사를 위해 대가를 지불하는 것은 언론 윤리강령과 기자의 취재력에도 반하는 행위이다. 예외적으로 신문사에서 취재원에게 인터뷰 시간에 대한 대가로 또는 출장 등의 비용을 지불하기도 하지만 양측 모두가 지불 목적과 비용보다 적거나 동등한 수준에서 지불할 것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개인적 호의로 기자 또는 신문사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고 이슈와 관련된 지역사회를 돕는 차원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것임을 취재원에게 상기시킨다.
정보를 얻기 위해 공무원에게 뇌물을 주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지만 아침에 사무실을 열어 주는 등 무언가를 해 주는 댓가로 약간의 선물이나 음료 등을 요구하는 문화가 자리 잡힌 곳도 있다. 이런 환경에서는 그 문화를 따를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런 사소한 일이 프로젝트 전체를 망칠 수도 있다. 아무리 적은 금액이고 일상적인 관행이라 할지라도 해당 공무원이 상사나 경쟁 신문사에 이 사실을 알린다면 뇌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기자는 이러한 요구를 받으면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하며, 개별 상황을 고려해 전략을 짜도록 한다. 추후 문제가 되면 (독자에게) 정당화할 수 있는가? 오히려 보도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설득해서여 협조를 받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이다.